나, 요즘/일하고 꿈꾸고

문화마케팅

노랑생각m 2005. 5. 13. 08:34
반응형

딥빵 짧은글이다.

크게 읽은건 없지만 문화마케팅에 점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가보다 하는 정도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문화융합상품이 수용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문화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오리지널리티를 유지하면서 브랜드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마케팅 수단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품자체의 속성만으로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브랜드 마케터들은 문화로 눈을 돌리고 있다. 자신만의 문화를 통해 브랜드를 차별화시키고, 타 브랜드가 따라 올 수 없는 브랜드 오리지널리티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기술진보로 인한 모방제품들의 홍수도 컬덕에 눈을 돌리는 이유이다. 대부분의 히트 아이템은 하루도 안돼 백화점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그래서 기업 및 제품이 가진 철학이나 문화를 브랜드에 담아 소비자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마케팅 활동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문화자체를 상품에 녹여 파는 이와 같은 현상을 무엇보다 상품자체의 속성만으로는 차별화가 점점 어려워지기 때문에 나타난다.
두 번째로 기술진보 등으로 인해 모방품이 신속히 나타나는 것도 이유가 된다. 독특한 문화상품 자체가 상품인 경우는 후발업체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비교우위이다.
따라서 상품도 물리적 ‘생산물(product)'이 아닌 문화융합상품 즉, ’컬덕(cultduct: culture 또는 cult+product)'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지고 보면 최근 유행하고 있는 웰빙 현상도 문화융합형 상품들이 쏟아져 나온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건강한 삶을 하나의 상징문화로 내세워 유기농채소, 요가, 건강센터 같은 다양한 상품이 등장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예를들면 풀무원은 웰빙이라는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문화융합형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문화를 테마로 하면 상품화의 기회는 그만큼 넓어진다.

상품수용자들은 한편으로는 상품이나 브랜드를 통한 문화를 체험하고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제품의 순수성과 문화의 소박성에 대한 혼동이 일어나고 있다. 마케터의 푸쉬(push) 전략에 따라서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판단력 둔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품의 성능을 넘어 문화적 동질성까지 이끌어내는 마케팅은 기업입장에서는 시장상황이 바뀌고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하더라도 고정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수단이기도 하다. 제품이나 브랜드마다 독특한 색깔이 없이 단순한 물리적 존재로만 마케팅하는 것은 이제 시대에 뒤진 형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융합 상품이 세계시장 진출의 진행과정과 문제점

외국상품이나 브랜드들이 회사의 철학에다 문화를 담아서 팔려는 계획하에 판매전략이 이루진 반면에 우리나라 상품과 브랜드는 아직 상품이나 브랜드에 문화를 담아서 판매하려는 전략은 초창기 단계에 있는 실정이라고 하겠다. 단지 한류열풍에 편승하여 동남아권에서 상품에 문화가 담겨진 것으로 알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부분적으로 문화상품화 혹은 문화브랜드화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에 민들레영토가 나름대로 스타벅스처럼 문화브랜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보기술환경으로 인해서 문화콘텐츠의 혼란속에서 문화융합상품의 정체성이 혼동속에 있는 실정이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정보기술 환경과 토속적인 문화환경의 매치가 유연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l



우리 문화상품이 나가야 방향제시

복사품은 성공할 수 없다. 개성있는 문화적 요소를 상품과 브랜드에 덧입혀야 한다. 획일적이지 않고 그 시대와 지역에 맞아야 한다. 스타벅스가 세계 어디에서나 동일한 모습인 반면에 민들레영토는 여러 지역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그 지역에 가장 잘 어울리는 문화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마치 중국식당은 그 나라의 재료를 사용하고 그 나라 사람의 입맛에 맞도록 맛의 문화를 개발하듯이 다양한 모습으로 창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본 철학은 변해서는 안 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머니의 사랑은 중요하다. 그러기에 이러한 감성마케팅의 문화를 상품과 브랜드에 담아서 전달할 수 있다면 우리 문화상품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오감을 다 소구할 수 있는 문화와 상품, 문화와 브랜드의 전략이면 좋다.

급격하게 변화되는 마케팅 환경에 문화융합상품은 기업과 문화예술의 연대가 국제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문화융합상품의 개척을 통한 국제화는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반응형